Convergence
Science Education Association
사단법인 융합과학교육협회
  STEAM연구 SPL프로젝트
 
  MBL네트워킹과학탐구실험대회
 
 

2003, 4월 과학의 달에, 한국과학문화재단 청소년과학탐구반의 전국 16개 시,도지역 50개 초등,중등학교가 참여하여, 실시간으로 컴퓨터 기반 과학실험 네트워킹 탐구대회를 진행하였습니다.

인터넷 데이터 및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와 스튜디오를 구축하고 전문 MC가 진행하는 생방송으로 대회 현황을 생중계하였습니다.

실시간 네트워킹으로 “유비쿼터스적 과학실험대회”를 실현한 과학실험대회에서 MBL실험 데이터는 대회운영본부의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송되었고, 실험 과정 전,후에서 학생들은 대회운영사이트에 실험에 대한 글과 사진, 동영상을 올리면서, 각시도의 다른 학교의 학생들과 토의를 온라인 인터넷 생방송으로 실시하였습니다(주관사업책임자 한국과학문화재단 계약번호 2003-31호, 김현수).
 


MBL네트워킹탐구대회 배경

네트워크연결형의 (시간, 공간을 초월한 실시간의 사이버 과학실험)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과학실험활동:

① 사이버상에서 (온라인 네트워크) 실시간으로 얻어진 실험 데이터를 대회운영본부에 곧바로 제출할 수 있으며, 각 지역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통합 및 분석.

② 각 지역에서 다른 지역을 포함한 모든 과학실험데이터와 분석된 결과들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것을 네트워크 상에서 볼 수도 있으므로 시간, 공간을 초월한 실제적인 과학실험을 수행.

③ 과제중심형 학생 주도의 실제적인 과학실험 활동 - 교육과정의 기본학습에 해당하는 과제탐구를 오프라인에서 수행하며 수행중의 실시간 데이터를 온라인에 제출함으로써 사이버 과학 활동 실현.

● ICT를 활용한 과학교육의 이론적 배경: MBL은 학생들로 하여금 오차해석, 그래프분석과 통계적 적용, 변인통제 등의 과학적 학습과 기술적 활용의 방법을 제공하는 도구로서 개념 학습에 있어서 인지적 갈등을 줄이고 빠른 피드백을 제공. 효율적인 데이터수집과, 실시간그래프, 시간효율성과 같은 컴퓨터 활용 기능을 최대한 이용함으로서 교육과정개선과, STS와 ICT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

① 전문 과학기술산업 분야에서나 이루어지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통합형 과학실험의 시도는 IT 교육의 새로운 장을 열어주는 계기. 전국의 단위학교를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물리적인 공간(오프라인)에서 과학실험을 하고 사이버공간(온라인 전자공간)에서 데이터 획득과 분석 및 평가.

② 이과 같은 대회의 이론적 배경을 네트워크를 통한 물리적 공간(오프라인의 실험)과 사이버상의 전자공간(온라인 실험)의 능동적인 반응과 인식에 둘 수 있는데 이는, 새로운 문명 속의 IT 과학기술의 응용이며, 사이버 과학 실험 대회는 이와같이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문화의 환경을 자연스럽게 교육현장에 접목.



MBL네트워킹탐구대회 운영개요


한국과학문화재단 청소년과학탐구반(YSC)에서는 컴퓨터 활용 과학실험(MB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03년 4월 과학의 달에 전국의 청소년과학탐구반을 온라인상에서 연결하여 네트워킹 탐구 대회를 성공적으로 실시. 이 대회는 16개 시도 분원 총 48개 학교 중 44개 학교가 참가하였으며 3회에 걸친 네트워킹 탐구대회 활동을 하였으며, 실시간으로 인터넷 활동실 게시판에서 탐구 활동 토의를 진행(2003, 한국과학문화재단).

① 한국과학문화재단 청소년과학탐구반에서는 전국의 16개 시,도에서 각각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1개교를 인터넷 과학실험 시범학교로 선정.

② 대회프로그램 운영일정에 따라 대회운영본부에서는 프로그램개발과 인터넷을 통한 과학 실험 프로그램, 인터넷 생방송 운영에 대한 테스트와 리허설을 진행.

③ 시범학교의 책임연구원(지도교사) 간담회를 통하여 행사운영안내 및 사전교육.

④ 대회운영본부에서는 행사관련 준비물과 사이버 과학 실험프로그램 안내를 참여학교 지도교사에게 배포하고 온라인을 통한 교육.

⑤ 참여학교에서는 실시간으로 운영본부에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제출.

⑥ 온라인으로 제출된 활동 과제보고서는 창의영역, 과학기술영역, 사회영역, 환경영역, 교과교육영역의 5개 부문에서 평가하고 대회 당일에 결과를 발표.

⑦ 대회운영당일에는 전문 MC의 사회 진행과, 해설 등을 인터넷 방송으로 생중계하며 실시간으로 전국의 단위학교를 연결하여 네트워킹 탐구 과학 실험 진행.



● 네트워킹대회 참여 학교 및 대회 운영 교사 :

최승일(강원사대부고), 심춘자(철원여고), 김광수(춘천고), 김인혜(경기화홍고), 이상철(용인구성중), 박성근(용인 수지중), 이기흔(경남과학고), 황창근(경남봉원중), 진정이(창원중앙여고), 최한용(경북강구정보고), 김문영(경북과학고), 황완기(경북사벌중), 신문식(광주과학고), 이한열(광주대동고), 김대영(광주송정중), 김승동(대구과학고), 김승홍(대구관천중), 안종권(대전대덕중), 박영호(대전동방여중), 김영숙(부산감천중), 김태연(부산고), 심정애(부산진고), 서정아(서울동마중), 강은형(서울경인중), 최영매(울산대현중), 정재훈(울산서여중), 이명희(울산유곡중), 이후창(인천대헌공고), 이승훈(인천숭덕여고), 김석중(인천연화중), 신원호(전남과학고), 최숙희(전남금천중), 김종서(전남소안중), 김채균(전북장수고), 김성주(전주전일고), 이재면(전주한일고), 김창건(제주성산중), 강동지(제주중앙중), 고용철(제주한림중), 조한천(천안중앙고), 정희천(충남병천고), 임성택(충남온양여중), 지성훈(청주동중), 김경수(충북과학고), 권종안(충북청주고), 김지연(EBS강사, 전문MC) 등.





*MBL네트워킹대회 인터넷 생방송 스튜디오에서 전문 MC와 참여학생의 리허설, 참여학교 학생들의 네트워킹 실험 활동 모습(한국과학문화재단, 2003)

   
MBL네트워킹탐구대회 언론 보도 자료(2003, 한국과학문화재단)


본대회를 대비한 첫 MBL(활동1)이 실시됐다. 그런데 간단하게 생각했던 우리들에게 큰 문제가 발생했다. 두 대의 컴퓨터를 접속해야 하는데 과학실에는 아웃렛이 하나뿐이었다. 부랴부랴 실험기구를 교무실로 옮기는 소동이 벌어지고 활동시작 2분이 지나서야 운영본부 서버에 접속할 수 있었다. 좀 당황했지만 진행되는 동안 점점 흥미가 더해갔고 활동 종료 후 게 시판에서 참여학교들과 코멘트를 남기고 답변하면서 익숙해지기 시작 했다.

15~16일 실시된 하루 동안의 지면과 수면의 온도변화에서 우리는 또 위기를 맞았다. 서버 접속에는 문제가 없는데 그래프 자료가 나타나 질 않는 것이었다. 두 시간을 씨름한 끝에(활동2) 과정을 포기하고 말았다. 다행히 본 대회날은 컴퓨터 두 대가 서버 연결에 문제가 없었고 탐구 주제에 따라 실험 설계를 하고 자료 수집에 들어갔다. 실험 설계를 하는 도중 친구들은 긴장을 했는지 자주 실수를 했다. 실험이 종료되고 긴장이 풀려서일까. 다리가 후들거렸다. 하지만 이 것으로 대회가 모두 끝난 것이 아니기에 다시 한 번 마음의 끈을 조이며 진지한 토의를 했다.

토의 결과 실생활에서 끓는 점을 이용한 여러가지 과학현상을 터득할 수 있었고 많은 참가학교들의 다양하고 심도있는 토의, 코멘트 내용을 보면서 우애를 느끼기도 했으며 최선을 다해 새로운 경험을 한 것만으로도 쾌감을 맛보았다. 그 때의 감격, 환희, 기쁨 이것을 어떻게 표현해 주섬주섬 담아야 할 지 몰랐다.

대자연에서 새로운 법칙을 찾아냈던 뉴턴, 아인슈타인도 이런 기분이었을까. MBL탐구대회는 밤하늘에 빛나는 별처럼 우리 SONS 과학탐구 동아리에 더 큰 힘과 용기를 주었다. <청주 동중학교 3학년 임영신>

매일경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0292334

연합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0358519

융합과학교육협회 CSEA BAND  
Convergence
Science Education Association
(C) 2013 CSEA All Rights Reserved. 사단법인 융합과학교육협회
업데이트: 2012-04-13